본문 바로가기

뇌과학2

습관 형성과 뇌의 작용 좋은 습관을 만드는 심리적 전략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거나 운동하기, 책 읽기 같은 좋은 습관을 만들고 싶은 마음 한 번쯤 가져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마음은 작심삼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왜 이렇게 습관을 만들기가 어려운 걸까? 오늘은 습관이 뇌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지속 가능한 좋은 습관을 만드는 방법을 심리학과 뇌 과학을 바탕으로 알아보려 한다.1. 뇌의 자동화 시스템 습관습관은 반복된 행동이 무의식적으로 자동화된 것을 말한다. 우리가 아침에 눈뜨자마자 스마트폰을 찾거나, 식사 후 무심코 양치질을 하는 것도 바로 뇌의 습관 시스템 덕분이다. 습관이 형성될 때 뇌에서는 "기저핵"이라는 부위가 활발히 작용한다. 기저핵은 반복적인 행동을 저장하고, 의식적인 노력 없이 행동을 실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기저핵은 반복적인 .. 2025. 4. 28.
우리는 왜 일을 자꾸 미룰까? 미루기의 심리학 숙제, 운동, 업무 등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자꾸 미루게 되는 나 자신을 한심하게 바라보고 자책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하지만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현상은 나의 의지력이 부족해서가 아닌 뇌의 자연스러운 반응 이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 우리는 왜 일을 미루게 되는지, 그리고 그 심리적인 이유와 뇌과학적인 이유를 알아보려고 한다.1. 미루기는 게으름이 아니다.우리가 무언가를 미룰 때 흔히 자신을 게으르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심리학적으로 미루기는 단순한 게으름과는 다르다고 이야기 하고있다.게으름 : 아예 행동하지 않는 것, 행동하는 것에 대한 인지가 없는 상태.미루기 : 해야 할걸 알면서도, 다른 일을 하며 회피하는 것.이렇듯 미루기는 행동 회피와 감정 조절의 문제에 가깝다고 볼 수..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