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3 심리학적 관점의 자기 합리화 인간이 변명을 하는 이유 살다 보면 사건, 상황에 맞추어 "어쩔 수 없었어", "이건 다 네 탓이야"와 같은 말을 듣거나, 하기도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심리학에서는 이것을 "자기 합리화"라고 한다. 자기 합리화는 자신이 한 행동이나 선택이 옳았다고 믿고 싶은 심리적인 방어기제이다.자신의 잘못이나 모순된 행동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변명을 만들고 상황을 왜곡하면서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심리를 작동시키기 때문이다. 오늘은 심리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인간이 변명을 하게 되는 이유와 자기 합리화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1. 자기 합리화란 무언인가.자기 합리화는 나는 괜찮은 사람이라는 자기 이미지를 지키기 위한 심리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누구나 자기 자신을 도덕적이고 이성적이며 항상 변하.. 2025. 4. 24. 번아웃의 심리학 열심히 하는데 왜 탈진하게 될까 일도, 인간관계도, 삶도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데 어느 순간 에너지가 바닥이 나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지는 그 순간, 그게 바로 "번아웃"이다. 번아웃은 단순한 피로와 다르다. 몸과 마음이 완전히 소진되어 버리는 상태로 의욕과 감정이 타버린 상태를 일컫는다. 이번 글에서는 번아웃의 심리적 원인과 그 회복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1. 번아웃이란 무엇인가."번아웃"이라는 말은 원래 기계나 불이 다 타버린 상태를 이야기한다. 심리학적으로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과도한 부담이 싸여 정신적, 유체적으로 완전히 소진된 상태를 말한다.1-1. 번아웃의 주요 증상- 아무것도 하기 싫고 무기력함- 평소 좋아하던 일도 흥미가 없음- 성과에 대한 자괴감과 냉소적인 태도- 극심한 피로, 두통, 수면장에에 시달림위의 상태들이 계.. 2025. 4. 24. 우리는 왜 일을 자꾸 미룰까? 미루기의 심리학 숙제, 운동, 업무 등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자꾸 미루게 되는 나 자신을 한심하게 바라보고 자책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하지만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현상은 나의 의지력이 부족해서가 아닌 뇌의 자연스러운 반응 이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 우리는 왜 일을 미루게 되는지, 그리고 그 심리적인 이유와 뇌과학적인 이유를 알아보려고 한다.1. 미루기는 게으름이 아니다.우리가 무언가를 미룰 때 흔히 자신을 게으르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심리학적으로 미루기는 단순한 게으름과는 다르다고 이야기 하고있다.게으름 : 아예 행동하지 않는 것, 행동하는 것에 대한 인지가 없는 상태.미루기 : 해야 할걸 알면서도, 다른 일을 하며 회피하는 것.이렇듯 미루기는 행동 회피와 감정 조절의 문제에 가깝다고 볼 수.. 2025. 4. 23. 기억의 오류 우리는 얼마나 자주 잘못 기억하고 있나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다 보면, 서로 기억하는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럴 때 내 기억이 틀릴 리 없다고 생각하곤 한다. 그러나 심리학에서는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기억은 사실을 저장하는 창고가 아니라,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이다.오늘은 우리가 얼마나 자주, 어떻게 기억을 왜곡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플래시벌브 기억, 왜곡된 기억, 허위 기억 등에 대해 재미있게 알아보자.1. 우리의 기억은 완벽하지 않다.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우리는 먼저 기억에 대한 오해부터 짚고 넘어가야 한다. 우리는 외가 한 번 입력한 정보는 정확히 저장하고 보관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기억은 사진처럼 찍혀 남는 게 아니라, 경험과 감정, 주변 정보가 섞여 들어 재구성되는 정보이기 때문이다.1-1.. 2025. 4. 2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