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와 이야기를 하다 보면, 서로 기억하는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럴 때 내 기억이 틀릴 리 없다고 생각하곤 한다. 그러나 심리학에서는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기억은 사실을 저장하는 창고가 아니라,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오늘은 우리가 얼마나 자주, 어떻게 기억을 왜곡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플래시벌브 기억, 왜곡된 기억, 허위 기억 등에 대해 재미있게 알아보자.
1. 우리의 기억은 완벽하지 않다.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우리는 먼저 기억에 대한 오해부터 짚고 넘어가야 한다. 우리는 외가 한 번 입력한 정보는 정확히 저장하고 보관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기억은 사진처럼 찍혀 남는 게 아니라, 경험과 감정, 주변 정보가 섞여 들어 재구성되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1-1. 플래시벌브 기억 - 생생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기억
일상생활이나 사회적으로 큰 사건을 접하게 되었을 때, 우리는 그 순간의 상황을 마치 사진처럼 생생하게 기억한다. 이걸 심리학에서는 "플래시벌브 기억"이라고 한다. 이것은 특별히 감정적인 사건일수록 더 선명하게 기억된다고 착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구 결과, 플래시벌브 기억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게 된다. 실제 조사에 의하면, 자신이 기억한 장소나 감정, 상황을 수년 후에는 다르게 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는 감정이 강한 경험일수록 기억의 자신감은 커지지만 기억의 정확도는 그에 비해 높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1-2. 기억의 왜곡 - 들은 이야기, 상상이 섞이게 된다.
기억은 고정된 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 주변 사람의 말, 미디어의 자극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가 "예전에 그 일이 있을 때 너 울었잖아"라고 계속해서 이야기하면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그랬던 것처럼 기억이 바뀌기도 한다. 또한 뉴스를 통해 본 사진이나 영상이 내가 실제로 겪은 것처럼 바뀌어 기억되기도 한다.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기억의 왜곡"이라고 한다.
1-3. 허위 기억 - 아예 없던 일이 기억이 되어 남는다.
가장 놀라운 기억의 오류는 존재하지 않았던 일을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허위 기억"이라고 한다. 엘리자베스 로프터스라는 심리학자는 한 실험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어릴 때 쇼핑몰에서 길을 잃어버렸던 기억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했다. 놀랍게도 참가자들 중 절반 이상이 실제 일어나지 않았었지만 자신에게 그런 일이 있었던 것 같다고 이야기했으며 그 쇼핑몰이 생각난다며 생생하게 이야기하기도 했다.
이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기억은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때문에 법을 다루는 법정에서도 증인의 기억만으로는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기억을 신뢰할 수 없는 이유
기억의 오류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기억의 간섭 - 유사한 기억들이 서로 섞이면서 혼동되는 오류
둘째. 시간의 경과 - 오래될수록 세부적인 정보는 사라지고 틀어지게 된다.
셋째. 감정의 영향 - 감정 상태에 따라 사건을 과장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넷째. 사회적 압력 - 다른 사람들의 주장에 의해 내 기억이 변형되는 경우
이러한 이유에도 기억이 중요한 데에는 기억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맺고, 경험을 토대로 하여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기억이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기억력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우리는 기억의 오류는 막을 수가 없다. 그러나 기억력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훈련할 수는 있다. 이를 위해 일기나 메모를 작성하여 남기고, 명상과 마음 챙김으로 집중력을 강화시키며, 중요한 순간을 사진등의 기록으로 남기고, 잘못된 기억이 생겼을 때 그럴 수도 있다는 마음의 여유를 가지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기억이라는 필터를 통하여 세상을 본다. 하지만 이는 때때로 왜곡되거나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만들어내 기억하기도 한다. 기억은 절대적인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지금 이 순간의 경험에 더 집중하며 느껴보는 것이 더 많은 좋은 기억을 만드는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마음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아웃의 심리학 열심히 하는데 왜 탈진하게 될까 (0) | 2025.04.24 |
---|---|
우리는 왜 일을 자꾸 미룰까? 미루기의 심리학 (0) | 2025.04.23 |
마음 챙김과 명상의 과학적 효과 스트레스 제로 집중력 높이기 (0) | 2025.04.22 |
행복해지는 법 과 긍정심리학이 말하는 진짜 행복의 의미 (0) | 2025.04.21 |
나를 사랑하고 자존감을 높여주는 심리학적 방법 5가지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