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도, 인간관계도, 삶도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데 어느 순간 에너지가 바닥이 나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지는 그 순간, 그게 바로 "번아웃"이다. 번아웃은 단순한 피로와 다르다. 몸과 마음이 완전히 소진되어 버리는 상태로 의욕과 감정이 타버린 상태를 일컫는다. 이번 글에서는 번아웃의 심리적 원인과 그 회복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1. 번아웃이란 무엇인가.
"번아웃"이라는 말은 원래 기계나 불이 다 타버린 상태를 이야기한다. 심리학적으로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과도한 부담이 싸여 정신적, 유체적으로 완전히 소진된 상태를 말한다.
1-1. 번아웃의 주요 증상
- 아무것도 하기 싫고 무기력함
- 평소 좋아하던 일도 흥미가 없음
- 성과에 대한 자괴감과 냉소적인 태도
- 극심한 피로, 두통, 수면장에에 시달림
위의 상태들이 계속되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자각하고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우리는 왜 번아웃에 빠질까?
2-1. 감정노동의 누적
서비스직 이나 상담직, 의료직 등 사람을 대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은 늘 감정을 조절하며 일해야 한다. 그렇게 때문에 웃고 싶지 않아도 항상 웃고 있어야 하고, 참아야만 하는 말들은 가슴속에 담아놓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감정노동은 에너지를 크게 소모시켜 번아웃을 빠르게 불러온다. 감정노동이 많은 직종일수록 번아웃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도 많다.
2-2. 완벽주의 성향
"나는 항상 완벽해야 해", "실수는 절대 용납되지 않아"와 같은 완벽주의 성향은 늘 자기 자신을 압박하게 만든다. 실수 한 번에도 크게 자책하거나 모든 일에 만점을 받기 위해 노력하다 스스로 지치게 되는 것이다. 완벽주의자는 성취보다 부족함에 집중하기 때문에 늘 만족스럽지가 않으며 결국 스스로 지치게 되는 것이다.
2-3. 회복 없는 반복
열심일 일한 후에는 회복시간이 꼭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는 종종 퇴군 후에도 이어지는 업무, 야근 후 다음날 휴식 없이 바로 출근, 주말에도 편히 쉬지 못하고 집안일, 육아 등의 일 처리와 같은 회복이 없는 반복된 생활은 몸뿐 아니라 마음까지도 지치게 만든다. 회복하지 못하면, 아무리 열정을 가지고 시작한 일도 언젠가는 불꽃이 꺼져버릴 수밖에 없다.
3. 번아웃에서 벗어나는 방법
3-1. 감정을 솔직하게 마주 본다.
내가 지금 힘들다는 것을 인정하는 게 처음 시작이다. 억지로 괜찮은 척이나 잘하고 있는 척하지 않아도 괜찮다.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인식하고, 필요하다면 가까운 사람이나 전문가와 이야기해 보는 것을 권한다.
3-2. 완벽주의 내려놓기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잘하는 것보다 지속 가능한 것이 더 중요하다. 100점보다 매일 70점을 꾸준히 내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더 큰 성과를 만들어 낼지도 모른다.
3-3. 회복 루틴 만들기
하루에 10분이라도 진짜 쉬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한다.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산책을 하거나 조용한 시간 여유 있는 음악감상시간등 비생산적인 시간이 진짜 회복을 가져온다. 정신과 에너지를 리셋하는 루틴은 꼭 필요하다.
3-4. 나만의 기준 세우기
타인의 기대나 시선을 의식하기보다는 나만의 리듬과 나만의 우선순위에 맞춘 삶을 살아보도록 하자. 지금의 나도 괜찮다는 만족감과 자기 인정을 통해 우리는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4. 번아웃을 예방하는 마인드셋
- 휴식은 게으름이 아니다.
-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내가 약해서가 아니다.
- 가끔은 멈추고 주위를 둘러보는 것이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그렇게 때문에 지치기도 하고, 아무것도 하기 싫을 수도 있다. 그럴 때에는 잠시 멈추고 숨을 고르는 시간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된다. 번아웃은 당신이 잘못해서 오는 것이 아닌 너무 열심히 살았다는 증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열심히 살기 위해서는 "회복"이라는 기초 체력이 필요하다. 우리는 감정을 인정하고, 완벽을 내려놓고, 진짜 나만의 시간을 가져보면서 다시 힘을 회복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 이 글을 읽어 보았다면 지금 스스로를 돌아보며 돌보고 조금 쉬어가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지 권해본다.
'마음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판단 오류 우리가 자주 빠지는 인지편향 들 (0) | 2025.04.24 |
---|---|
심리학적 관점의 자기 합리화 인간이 변명을 하는 이유 (0) | 2025.04.24 |
우리는 왜 일을 자꾸 미룰까? 미루기의 심리학 (0) | 2025.04.23 |
기억의 오류 우리는 얼마나 자주 잘못 기억하고 있나 (0) | 2025.04.23 |
마음 챙김과 명상의 과학적 효과 스트레스 제로 집중력 높이기 (0) | 2025.04.22 |